Archive: 2025

AI프렌즈-Agent가 바꾸는 RnD의 미래

대전의 출연연들 AI 담당자들이 모여 각 기관에서 R&D AI agent를 만드는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R&D AI agent의 본질은 AI가 아니라 R&D일 것이고, AI 이전에 우리가 agent입니다. 최근 AI agent의 발전이 인간사회를 닮아가는 듯 합니다. 조금은 넓은 관점에서 의견을 드렸습니다. 1. 강연 영상과 강의자

서울특별시교육청-ChatGPT 이후 3년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3년만에 불러주셨습니다. 3년 전, 23년 3월에는 ChatGPT란 무엇이며 어떻게 써야 하는가가 주된 주제였습니다. ChatGPT가 익숙해진 지금, 우리 사회가 바뀌어가는 모습에 대한 말씀을 드렸습니다. 1. 인공 지능 시대 [Pega Devlog: 서울특별시 교육청 - ChatGPT와 인공지능시대] 3년 전에 서울교육청에서

솔트룩스-리서치 에이전트 세상을 집어 삼키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님께서 의미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셨습니다. 언어모델 룩시아(Luxia)와 리서치 에이전트 구버(goover)를 만들면서 많은 고민을 하셨을테고 비슷한 고민을 많이 했을 분들, 저까지 여섯이 돌아가며 경험과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1. 솔며들다 YouTube Playlist: 솔며들다 | 솔트룩스에 빠져 들어보세요 솔트룩스에서 운영

인공지능을 활용한 슬기로운 연구생활 v2505

최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전기학회의 초청을 받았습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슬기로운 연구생활”이라는, 전과 동일한 제목의 강연을 드렸습니다. 그러나 내용은 최근의 업데이트와 질문들을 반영하여 적잖이 바뀌었습니다. 1. 기술적으로, 연구에 AI를 써도 되나? Nature: Is it OK for AI to write science papers

KIER issue report - Agentic AI 개념 및 에너지 연구 활용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는 issue report라는 시간이 있습니다. 경영진이 알아야 하는 여러 현안에 대해 발표를 듣고 질의응답을 하는 시간입니다. Agentic AI를 주제로 2025.05.19. 이슈리포트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LLM vs AI Agent AI Agent는 스스로 판단해서 동작합니다. 여러 도구를 갖추고 자율성과 유연성이 있습니다.

한림원 - AI강국을 향한 우리의 전략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한국 AI의 미래 시리즈로 토론회를 합니다. 그 중 첫번째 시간, “AI강국을 향한 우리의 전략”에 토론자로 초청받아 말씀을 드렸습니다. 참여자 중 현장에 가장 가까운 입장이라 현장의 목소리를 들려드리려고 노력했습니다. AI강국을 향한 우리의 전략 정부에서 AI 3대 강국을 내세웠지만 만만치 않습니다. 3위권으로 분류되고는 있으나

Gemini Audio Overview - 야근식대 지급신청서

최근 구글 딥마인드에서 만든 제미나이(Gemini)에 다양한 기능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구글의 다채로운 서비스들을 제미나이와 엮는 반면, 준비해 둔 기능들을 탑재중입니다. 야근식대 지급신청서를 사용해 NotebookLM에 있던 Audio Overview를 실행해봤습니다. 1. 야근식대 지급신청서 + Audio Overview 제가 근무하는 한국에너지기술

ZDNET AI리더스 - 에너지연 이제현, 레고형 자동화로 연구 시스템 재편

ZDNET Korea 조이환 기자님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2시간여 가량 저의 생각과 지난 이야기를 나누었고, 짧지 않은 기사로 정리해주셨습니다. 제가 몸담은 에너지연의 문화를 바꾸려는 노력을 잘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ZDNET: [AI 리더스] “AI는 새로운 전기”…에너지연 이제현, ‘레고형 자동화’로 연구 시스템 재편 AI는 기술이기도 하지만

헤럴드경제 IT과학칼럼 - 우리 조직의 AI, 왜 체감되지 않을까?

AI를 도입하고자 하는 이들은 많으나 성공하는 경우는 많고 기술적 어려움보다 AI에 잘못된 기대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수년간 현장에서 느낀 바를 정리하여 헤럴드경제에 기고문을 실었습니다. 헤럴드경제: [IT과학칼럼] 우리 조직의 AI, 왜 체감되지 않을까?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미 수많은 사람들이 챗GP

SEMA 행복한 과학기술인 - AI와 함께 일하는 시스템을 만들어가는 행복

과학기술인공제회(SEMA)의 요청으로 저에 대한 글을 한 편 냈습니다. 제가 한 일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했지만 저에 대한 이야기는 오랜만입니다. 힘들기도 했지만 덕택에 지금의 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더 성장하고자 합니다. 1. 행복한 과학기술인 과학기술인공제회: 설립목적적과학기술인공제회: 행복한 과학기술인 과학기술인공제회는 과학기술인의 안정적인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