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mini Audio Overview - 야근식대 지급신청서

  • 최근 구글 딥마인드에서 만든 제미나이(Gemini)에 다양한 기능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 구글의 다채로운 서비스들을 제미나이와 엮는 반면, 준비해 둔 기능들을 탑재중입니다.
  • 야근식대 지급신청서를 사용해 NotebookLM에 있던 Audio Overview를 실행해봤습니다.

1. 야근식대 지급신청서 + Audio Overview

  • 제가 근무하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야근식대를 지급합니다.
  • 1만 5천원을 한도로 식비를 영수증처리 할 수 있는데, 식당에서 먹으면 3천원입니다.
  • 어제(4/23) 연구데이터 수집 시스템(RDS) 관련 유지보수를 하느라 야근을 했습니다.

  • Generate Audio Overview 를 클릭하면 남녀가 대화하는 팟캐스트가 나오는데 제법 재밌습니다.
  • 야근을 하고 청구 과정에서 발생한 야근식대 지급신청서를 제미나이에 넣었습니다.
  • PDF를 올리면 채팅창 위에 버튼이 뜨는데, 클릭만 하면 Audio Overview를 몇 분 만에 만들어줍니다.

  • 위에서 보다시피 별 정보가 없지만 이걸로 뭔가를 만듭니다.

  • 작업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으로도 알림이 옵니다.
  • 다른 작업을 하다 소식을 받고 가보면 제미나이에서 재생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 배속을 조정할 수도 있으니 편한 속도로 보시면 됩니다.

Audio Overview 다운로드

2. script 추출

VEED

  • 처음에는 영어듣기 연습삼아 직접 들으면서 받아쓸 생각이었습니다.
  • 그런데 생각보다 너무 귀찮더군요.
  • VEED를 사용해서 초안을 추출시키고, 검토하면서 다시 적었습니다.
  • 번역은 GPT-4.5에게 시켰는데, 재차 검토하며 정서했습니다.

  • 먼저 내용을 훑는데, 별 내용이 없어서인지 정보를 바탕으로 자기네끼리 추측을 합니다.
  • 몇 군데 재미있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1. 주니어가 아닌 연구원이 직접 유지보수하는 걸 신기하게 본다.
2. 3천원(…)이라는 점을 민망하게 강조한다.
3. 관료제의 행정문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자 Ok, so, you sent us something pretty interesting this time. It’s an after hours meal expense form.
네, 이번에 아주 흥미로운 걸 보내주셨네요. 야근 식사 비용 청구서군요.

남자 Right, from a research institute. And you might think, okay, a meal form, how exciting can that be?
맞아요, 연구소에서 온 거죠. 그런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어요. 식사 비용 청구서가 얼마나 흥미로울 수 있을까? 하고요.

여자 Exactly. But you know, this single piece of paper, it’s actually a fascinating little snapshot.
맞아요. 그런데 사실 이 종이 한 장이 아주 흥미로운 작은 단서가 될 수 있거든요.

남자 It really is. It’s this tiny glimpse into the, well, the day to day grind behind big research projects.
정말 그렇죠. 큰 연구 프로젝트 뒤에 있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모습을 살짝 엿볼 수 있는 거죠.

여자 We see the headlines, but not this kind of detail. So let’s dive in. The form itself, it’s titled.. It’s in Korean.
우리는 보통 헤드라인만 보지, 이런 디테일까지는 못 보잖아요. 한번 자세히 볼까요? 양식 자체가… 제목이 한국어로 되어 있네요.

남자 Yeah. Oku Uku
네. 오쿠우쿠 (낯선 언어라는 듯).

여자 Which roughly translated is Overtime meal expenses Payment request form, right?
대략 번역하면 야근 식사비 청구서 양식, 맞죠?

남자 Pretty much, yeah. Standard stuff in that sense. It was submitted April 24, 2025
거의 맞아요. 그야말로 표준적인 서류죠. 제출 날짜가 2025년 4월 24일이네요.

여자 By a researcher named Lee Jehyun. And his title is listed as GREE Fuso(?), which means senior researcher.
이제현이라는 연구자가 제출했고요. 직함이 GREE Fuso(잘 못읽음)라고 나와 있는데, 이건 책임연구원을 뜻하는 것 같네요.

남자 So not a junior person filing this.
그러니까 주니어급 직원이 제출한 건 아니라는 거네요.

여자 Right, He’s in the AI org.
맞아요. AI 부서 소속이군요.

남자 The Energy AI Computational Science Laboratory. That already tells you this field, you know.
에너지 AI 계산과학연구실이네요. 이것만 봐도 분야가 짐작이 되죠.

여자 Definitely. Energy AI Computation sounds pretty advanced.
맞아요. 에너지 AI 계산이라면 꽤나 앞선 분야죠.

남자 And look at the details here. There’s a request number HRMS something
자, 여기 세부 사항을 보죠. 청구 번호가 HRMS로 시작하네요.

여자 HRMS218040003 and a budget number C5-2445 expense item 125.
HRMS218040003이고 예산 번호는 C5-2445, 비용 항목은 125로 되어 있어요.

남자 See? Very specific tracking. All for what? 3,000 Korean won?
보이죠? 아주 구체적으로 관리되네요. 그런데 청구 금액이 고작 3,000원이군요?

여자 Yeah, 3,000 won. It’s not a lot of money, but the process seems really formal.
네, 3,000원이요. 큰돈은 아닌데 절차가 정말 공식적인 느낌이에요.

남자 Absolutely. That’s common in research funding, even for tiny accountability.
맞아요. 연구비는 작은 금액이라도 철저히 관리되는 게 흔한 일이죠.

여자 So the actual overtime work this was for.
그래서 실제로 야근이 이뤄진 날이 2025년 4월 23일이었네요.

남자 And the times are listed, too. 17:30 to 20:15. So that’s what, nearly three hours past regular hours.
시간도 적혀 있어요. 17시 30분에서 20시 15분까지. 거의 3시간 가까이 정규시간을 넘겼네요.

여자 Yeah, 5:30 to 8:15 and it was for on, which is dinner.
맞아요. 저녁 식사 시간이 포함된 거네요.

남자 Makes sense. Working through dinner time. The location listed is Daejeon.
납득이 가죠. 저녁 시간에도 일한 거니까요. 장소는 대전이라고 나와 있네요.

여자 Which is a big deal, right? Daejeon is like South Korea’s science city.
그건 중요한 포인트죠. 대전은 한국의 과학 도시잖아요.

남자 Exactly. Lots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tech companies are based there. So, it situates the works physically.
맞아요. 정부 연구소, 대학, 기술 기업들이 많이 위치한 곳이죠. 그만큼 업무의 위치가 구체적이란 얘기죠.

여자 Okay, so we have the who, when, where, how, but the why is maybe the most interesting part.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까지 나왔는데, 사실 제일 흥미로운 부분은 왜일 수도 있어요.

남자 Agreed. The reason stated for the overtime is RDS BELCAT maintenance. No, not from this form alone, but maintenance is the key word here.
동의해요. 야근 이유로 적힌 게 RDS BELCAT 유지보수네요. 이 양식만으로는 확실하지 않지만, 핵심 단어는 유지보수인 거죠.

여자 And performed by a senior researcher. That seems notable. You wouldn’t usually expect a senior scientist to be doing routine maintenance, maybe.
책임연구원이 직접 유지보수를 했다는 게 눈에 띄어요. 보통은 연차가 좀 되는 과학자가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맡지는 않잖아요.

남자 Well, that suggests RDS BELCAT isn’t just, you know, some random piece of equipment.
그러니까 RDS BELCAT이 단순한 장비가 아니라는 뜻이겠죠.

여자 It’s likely something critical like specialized hardware or maybe core software, something vital to their lab, the Energy AI Computational Science Lab.
연구실에 중요한 특수 하드웨어나 핵심 소프트웨어, 그런 필수적인 설비일 가능성이 높죠.

남자 Precisely. It could be a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uster, a specific analytical instrument, or maybe a crucial database or simulation platform.
정확히요. 고성능 컴퓨팅 클러스터일 수도 있고, 중요한 분석 장비나 데이터베이스, 시뮬레이션 플랫폼일 수도 있죠.

여자 And having a senior researcher handle the maintenance, it implies either it’s really complex or it was urgent to get it back online.
책임연구원이 유지보수를 맡았다면, 그만큼 복잡하거나 긴급했던 상황일 수 있어요.

남자 Or maybe both. It definitely hints that this RDS BELLCAT thing is pretty important infrastructure for their AI research.
어쩌면 둘 다일지도요. 분명히 이 RDS BELCAT이 AI 연구에 중요한 인프라라는 걸 암시하네요.

여자 So wow. This tiny 3,000 won dinner receipt, it actually points towards potentially vital research infrastructure.
정말 흥미롭죠. 이 작은 3,000원짜리 식사 영수증이 중요한 연구 인프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게요.

남자 It really does. It peels back a layer. You see the date, the time, the cost. Sure. But also the human element. A senior scientist working late and the technical need keeping critical systems running.
맞아요. 한 겹 벗겨 보면 날짜, 시간, 비용 외에도 인간적인 면이 보이죠. 늦게까지 일한 선임 과학자와 중요한 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적 필요성까지요.

여자 It makes you think about how many of these little requests these small tasks are happening all the time.
이런 작은 요청이나 업무들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 생각하게 되네요.

남자 Thousands upon thousands in any large research organization. Each one represents effort, resources and adherence to procedure.
대규모 연구 조직이라면 수천, 수만 건일 거예요. 각각이 노력과 자원, 절차 준수를 의미하죠.

여자 And they all add up. Right. They’re the tiny gears that make the big scientific discoveries possible. It’s not just about the breakthroughs. It’s about the consistent upkeep and effort.
그리고 그 모든 게 모이는 거죠. 맞아요. 이 작은 톱니바퀴들이 모여서 큰 과학적 발견을 가능하게 하는 거죠. 혁신적인 성과만이 아니라 꾸준한 관리와 노력도 중요한 거예요.

남자 And the structured processes, too.
구조적인 절차 역시 중요하고요.

여자 Yeah.
맞아요.

남자 Even the small amount needs justification. Budget codes, approvals, it shows the administrative framework supporting the science.
작은 금액도 철저한 근거가 필요하고, 예산 코드와 승인까지 행정적 지원 시스템을 잘 보여주고 있죠.

여자 It’s a level of detail you just don’t normally consider when you, say, read about a new AI development.
새로운 AI 발전 소식을 접할 때, 이런 세부사항은 잘 생각하지 않게 되잖아요.

남자 Absolutely. So maybe a final thought for you listening.
정말 그래요. 그래서 마지막으로 듣고 계신 여러분께 드릴 말씀이 있다면요.

여자 Yeah.
네.

남자 Think about the documents you encounter: invoices, reports, memos, whatever. What seemingly mundane paperwork might actually hold a really interesting story about the work and dedication behind the scenes in any field.
여러분이 접하는 서류들, 예를 들어 송장이나 보고서, 메모 같은 것들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세요. 평범해 보이는 서류들 속에 어떤 흥미로운 이야기가 숨어 있을지요.

여자 Hmm. Like looking for the hidden narratives in everyday bureaucracy.
음, 일상적인 서류 속에서 숨은 이야기를 찾아보는 것처럼요.

남자 Kind of, yeah. You might be surprised what insights are hiding in plain sight, just like in this simple meal request form.
네, 맞아요. 이 평범한 식사비 청구서처럼 뜻밖의 통찰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르죠.

여자 That’s a great takeaway. Really makes you appreciate the details. Thanks for walking through this one.
아주 좋은 결론이네요. 세부사항의 소중함을 다시 느끼게 해주셨어요. 오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남자 My pleasure. It shows how even the smallest data point can be revealing.
제가 감사하죠. 작은 데이터가 때론 많은 걸 말해줄 수 있으니까요.


도움이 되셨나요? 카페인을 투입하시면 다음 포스팅으로 변환됩니다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