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ZDNET Korea 조이환 기자님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 2시간여 가량 저의 생각과 지난 이야기를 나누었고, 짧지 않은 기사로 정리해주셨습니다.
- 제가 몸담은 에너지연의 문화를 바꾸려는 노력을 잘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ZDNET: [AI 리더스] “AI는 새로운 전기”…에너지연 이제현, ‘레고형 자동화’로 연구 시스템 재편
- AI는 기술이기도 하지만 문화로서의 의미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 에너지연에 처음 몸담은 2018년, 생각보다 훨씬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기계가 읽을 수 없는 데이터,
- 그리고 그런 데이터조차 흐르지 않는 조직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습니다.
- 에너지연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 사실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가 흐르는 조직이 거의 없지 않을까 합니다.
- 정부에서는 신규 인력 양성을 주로 내세우는 듯 하지만,
- 현장의 인력 발굴이 더 시급하고 효과적입니다.
- 부트캠프에서 나온 신병들은 전쟁터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 그런데 산업 현장은 만만치 않습니다.
- 도메인 지식과 관료제로 인한 조직의 벽이 생각보다 높습니다.
- 이들을 진작에 넘어선 현장에서 독학과 커뮤니티의 힘으로 AI 전환을 해내는 분들이 이미 있습니다.
- 이 분들은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핀잔을 받고 있거나,
- 보상에 비해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기도 합니다.
- 그리고 고생하는 이 분들을 보면서 후배들은 몸을 사립니다.
- 드러나면 고생이라 숨어지내고, 조직은 인재 부족에 시달립니다.
- 나비를 원하면 정원을 가꾸라는 말이 있습니다.
- 이미 있는 사람들이 숨을 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알아서 자라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