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ibutor: 조남경님
Bing Image Creator
- Microsoft가 OpenAI와 손을 잡고 진격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 ChatGPT 관련된 협력에 이어 지난 5월 21일, BingChat에서 그림을 그릴 수 있음을 공지했습니다.
- 이미 Bing Image Creator라는 이름으로 OpenAI의 DALL-E를 서비스하기 시작했으며
- 모든 면에서 DALL-E보다 성능이 우수하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 Midjourney, Stable Diffusion 등 다른 좋은 모델들이 있습니다.
- 그렇지만 Bing Image Creator는 간편합니다. Discord 없이 웹에서 접근 가능하고, Bingchat에서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특징을 하나씩 알아가는 중이지만 본 글을 통해 제가 알게 된 노하우를 조금씩 나누고자 합니다.
1. Bing Image Creator 접속
https://www.bing.com/create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혹시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지 않는다면, 오른쪽 위에서 로그인버튼을 찾아 들어갑니다.
Microsoft 계정이 필요합니다.
윈도우 사용자라면 윈도우를 설치할 때 사용한 그 계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반적인 구성은 단순합니다.
상단 입력창에 프롬프트를 입력해 그림을 생성합니다.
자주색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그림이 생성되는데, 바로 왼쪽 번개 코인 숫자가 보일 것입니다.
부스트라고 합니다.
부스트는 오후 4시경 리셋됩니다.
Microsoft bing 검색, Edge browser 사용 등 Microsoft 제품을 열심히 쓰면 최대 코인 수가 늘어납니다.
저는 매일 부스트가 100개로 리셋됩니다.
Microsoft Edge browser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그림 그리기
- 첫 번째 그림으로 고양이를 그립니다.
- 입력창에 cat이라고 입력하고 만들기를 누릅니다.
- 잠시 기다림이 지난 후 고양이 얼굴이 생겼습니다.
- 반가운 마음에 곧장 다운로드를 하고 싶겠지만 조금만 참아봅시다.
- 내 머리 속에는 하얀 고양이가 웃는 옆모습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이 그림을 머리 속에서 화면으로 옮기려고 합니다.
3. 그림 고치기
3.1. 고양이 표정, 색 고치기
- cat 앞에 smiling과 white를 차례로 추가해 표정과 색을 지정합니다.
- 이 밖에 원하는 그림이 있다면 속성을 지정하는 말을 얼마든지 붙일 수 있습니다.
- 귀찮게 외워야 하는 특별한 명령어가 없습니다.
- 머리 속으로 그림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그린 후, 이를 말로 옮기면 됩니다.
3.2. 우리말로 명령하기
- 꼭 영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미소짓는 하얀 고양이를 입력해도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 그러나 저는 영어 입력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 이런 모델이 학습한 언어 중 영어의 비율이 압도적이기 때문에 적확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물론 영어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거나 한글 입력이 더 적확할 때는 한글을 씁니다만,
- 경험적으로 영어 입력이 의도를 더 잘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 “미소짓는 white cat” 처럼 여러 언어를 섞어도 됩니다.
3.3. 속성 개별 지정
- 고양이의 속성으로 “smiling”과 “white”를 지정했습니다.
- 묘사하고자 하는 속성이 길어지면 문장이 꼬이기 시작합니다.
- 이럴 때, 속성을 따로 떼어 지정할 수 있으면 의도 반영이 유리해집니다.
- 중괄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소재, 스타일, 색, 크기 등 여러 속성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3.4. 구도 지정
- 우리 그림에서는 고양이가 정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그러나 사실 그래야만 하는 이유는 없습니다. smile이라는 단어에 의해 확률적으로 앞모습이 나왔을 뿐입니다.
- 고양이를 바라보는 카메라의 방향을 지정하면 구도가 바뀝니다.
- side view라는 입력에 left view가 나온 것은 우연입니다.
- 방향을 지정하고자 하면 right view처럼 명확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뒷모습을 뜻하는 rear view에서는 고양이가 고개를 돌리고 있습니다. smiling때문입니다.
- 같은 구도가 여러 이름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 top view는 overhead shot과 동일하고, bottom view는 low angle과 동일합니다.
- dutch angle은 front view와 유사하나 삐딱합니다.
- 좌우는 딱히 중요하지 않으므로 side view로 지정하겠습니다.
3.5. 표현 범위 지정
- 고양이 머리만 잔뜩 그려지고 있지만, 저는 고양이 전체 모습을 그리고 싶습니다.
- 그림 대상을 명확히 해서 다리와 꼬리까지 모두 나오게 해봅니다.
- 먼저, full body라는 프롬프트를 시도합니다.
"smiling white cat, side view, full body"
- 명령이 불충분한 것 같습니다. 마음에 드는 그림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 발과 꼬리를 포함하라는 뜻으로 including feet and tail을 추가합니다.
"smiling white cat, side view, full body including feet and tail"
- 갑자기 만화체가 등장해서 조금 당황스럽긴 하지만 이상한 일은 아닙니다.
- 그림체를 지정한 적은 없으니까요. 애초에 사진 같은 이미지도 랜덤으로 나왔을 뿐입니다.
- 왼쪽 아래 이미지가 맘에 듭니다. 저장하기로 합시다. 선택합니다.
4. 그림 저장
- 화면 한가득 내가 선택한 그림이 펼쳐집니다.
"smiling white cat, side view, full body"
- 다운로드를 누르면 파일이 저장됩니다. 1024 x 1024의 .jpg입니다.
- 저장을 누르면 내 bing 계정에 저장됩니다.
"smiling white cat, side view, full body"
- 링크를 따라가면 내가 저장했던 그림들을 나중에 다시 꺼내볼 수 있습니다.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 각자 머리 속에 떠오른 그림을 그려보면 어떨까요?